지식표상
-
인지심리학 14; 지식 표상 II심리학/인지심리학 2022. 9. 27. 15:33
Q:처음 방문한 곳을 다시 찾아갈 때에 길을 매우 잘 찾는 사람이 있는 반면, 길눈이 어두운 사람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어떤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찾고 탐색하는 걸까요? 여러분의 생각을 작성해 보세요. 심상 척도화 심상의 확대/축소: 심상 척도화(mental scaling) 기본 가정: “사람들은 실제 지각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심상을 이용한다.(기능 등가성)” 지각 과정에서의 시각 해상도와 크기의 관계 - 멀리서 보면 가까이서 볼 때만큼 대상의 세부사항을 명확하게 볼 수 없음 심적 표상에서의 해상도와 크기 - 마음속에서도 대상을 면밀히 살펴보려면 심상 크기를 확대해야 하고 전체적으로 보려면 축소해야 함 심상 척도화의 예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멀리 떨어져서 관찰해 보라. 전체적인 외..
-
인지심리학13; 지식 표상 I심리학/인지심리학 2022. 9. 27. 14:35
Q.우리가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는 기억에 저장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진을 보거나 글을 읽을 때 마음속에서 이미지 형식으로 저장될 것인가 아니면 언어의 형식으로 저장되겠는 가? ‘사과’를 마음속에 떠올려 보면서 마음속에서 지식을 표상하는 방식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을 작성해보세요. 지식의 심적 표상 심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지식 표상(knowledge representation) 이란 외부 세계에 있는 대상, 아이디어, 사건 등에 관하여 알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형태 ex) 유명인의 얼굴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 돌아가신 할머니의 얼굴, 목소리 지식 표상의 연구 방법 합리주의적 접근(이성주의적 접근) 지식의 두 가지 구조: 선언지식(knowing w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