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억
-
심리학개론13; 이중기억이론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27. 05:57
Q1.기억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Q2.생각이 나지 않은 기억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일까? 기억의 종류와 과정 기억내용에 따른 분석 의미기억 :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는 것. 지식을 하나의 명제형태로 추상적으로 기억하는 것. 삽화기억 : 기억에 있어서 그림처럼 기억하는 영상기억 기능적 과정에 대한 분석 기억(memory)이란? 지식이나 정보가 획득, 수정, 저장, 인출, 변형되는 하나의 능동적 체계 이중기억이론 - 기억은 처리시간에 따라 감각저장소->단기기억->장기기억으로 변화된다고 보는 이론 - 지속시간에 따라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뉜다. - 단기기억 감각저장소를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중에 지금 현재 의식 속에 있는 기억으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불림. - 장기기억 현재 의..
-
인지심리학11; 기억 정보의 부호화와 인출심리학/인지심리학 2022. 9. 19. 18:10
Q.10년 전에 있었던 일은 기억이 잘 나지만 고작 1년 전에 있었던 일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이런 경우가 생기는 걸까요? 정보의 부호화 기억 과정의 개요 기억 과정과 관련하여 다루어지는 문제들 - 광고음악이 마음에서 반복적으로 들리는 경험은 왜 하게 되나? - 일화나 정보를 순서대로 기억해 내는 능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 망각되는 과정은? 기억의 3가지 주요 과정 - 부호화(encoding): 물리적인 감각 입력 자극을 기억 표상 정보로 전환하는 방법 - 저장(storage): 부호화한 정보를 기억에 저장(유지)하는 방법 - 인출(retrieval): 기억 저장된 정보에 접속하는 방법 기억의 주요 연구 문제: 정보의 ‘부호화 형태’ - 정보는 어떤 형태로 부호화되어 기억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