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리학개론13; 이중기억이론
    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27. 05:57
    반응형

    Q1.기억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Q2.생각이 나지 않은 기억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일까?

     

    기억의 종류와 과정

     

    기억내용에 따른 분석

    의미기억 :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는 것. 지식을 하나의 명제형태로 추상적으로 기억하는 것.

    삽화기억 : 기억에 있어서 그림처럼 기억하는 영상기억

     

    기능적 과정에 대한 분석

     

    기억(memory)이란?

    지식이나 정보가 획득, 수정, 저장, 인출, 변형되는 하나의 능동적 체계

     

     이중기억이론

    - 기억은 처리시간에 따라 감각저장소->단기기억->장기기억으로 변화된다고 보는 이론

    - 지속시간에 따라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뉜다.

     

    - 단기기억

    감각저장소를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중에 지금 현재 의식 속에 있는 기억으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불림.

    - 장기기억

    현재 의식 속에는 없으나, 언제든지 필요하면 인출할 수 있는 과거의 경험과 학습을 통해 머릿속에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는 무한 용량의 기억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비교


    감각등록기 단기기억 장기기억
    정보의 입력 무제한 주의집중 암송, 능동적 구성
    ()호화 영사적, 잔향적 부호화 시각, 청각부호화 심상부호화,(일화기억-그림형태)
    의미부호화 (의미기억-언어적형태)
    지속시간 -수초 30 무한대
    저장용량 무제한(입력자극의 복제) 제한적 (7±2)=5~9 무제한
    정보의유지방법 입력자극의 복제 암송, 반복 능동적구성
    (의미체제화)
    인출 무오류 인출 무오류 인출 구성적 인출
    망각 지워짐, 간섭 간섭 인출실패, 간섭과 억제
    (인출단서 부족, 설단현상)

     

    망각 - 부호화, 저장, 인출단계에서 일어남

    - 망각: 기억에 저장된 정보가 손실되어 산출되지 못하는 것. 망각의 원인은 기억 흔적의 쇠퇴, 간섭, 억압 등에 의해 일어남

     

     망각이론

    (1) 기억쇠퇴설 : 시간경과에 따라 기억흔적 사라지기 때문

    (2) 간섭이론-정보가 상호방해를 하는 것

    역행간섭(억제)--->현재사건때문에 과거의 것이 생각안나는것

    순행간섭(억제)--->과거사건때문에 현재의 것이 생각안나는것

     

    (3) 동기적 망각

    억압: 현실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문제나 경험들을 무의식적으로 억압

    > 사랑과 추억(영화)

           주인공이 과거의 기억하기 싫은 기억을 완전히 망각하고 살다가 같은 기억을 간직하며 살다 정신병에 걸린 쌍둥이 동         생을 위해 되살려냄

    ▪ Zeigarnik효과: 미완성과제를 완성과제보다 더 잘 기억.

     

    Q. 망각이 최대화되는 시점은? 복습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은가?

    예빙하우스의 망각곡선

    A. 1일차에 망각곡선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무의미 철자의 파지는 재학습시의 절약 점수로 측정된다.

    파지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파지가 감소하나 망각률은 서서히 떨어진다.

     

     

    ★요약

    1. 이중기억이론에 따르면 기억은 처리시간에 따라 감각저장소->단기기억->장기기억으로 변화된다.

    2. 감각저장소 정보의 입력은 무제한이지만 지속시간이 수초에 불과하다.

    3. 단기기억 감각저장소를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중에 주의 집중한 내용에 한해 정보입력이 되며, 저장용량은 제한적(7± 2)이다.

    4. 장기기억단기기억에서 넘어온 정보를 암송, 능동적으로 구성한 정보만이 입력되며, 저장용량은 무제한이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