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개론09; 행동주의 학습이론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9. 20:16반응형
행동주의 인지주의 이론 고전적조건형성
도구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통찰학습
잠재학습
관찰학습철학적 배경 경험론,환경론 인식론 학습과정 자극-반응의 연합 인지구조의 변화 학습결정요인 환경에서 주어지는 강화와
처벌에 의해 결정됨학습자의 내적 인지와
통찰에 의해 일어남고전적 조건 형성
고전적 조건 형성의 과정
파블로프의 개 1단계 고기(UCS)
(무조건자극)----------------->
학습이필요없다침분비(UCR)
(무조건반응)2단계 종소리 ㅣ
ㅣ
ㅣ↘ CS:조건자극
ㅡㅡㅡㅡㅡ
↘고기
UCS:무조건자극-------------------▶ 침분비
CR:조건반응
UCR:무조건반응무조건자극(US,UCS):UNCONDITIONED STIMULUS
의존반응 유발자극, 강화물
예)먹이,큰소리, 보상,처벌...
무조건반응(UR,UCR)UNCONDITIONED RESPONSE:
무조건자극에의한반응
예)먹이---->침
조건자극(CS):CONDITIONED STIMULUS
무조건자극과짝지워진자극
예)종소리,부저소리,불빛,특정인의 얼굴..
조건반응(CR)CONDITIONED RESPONSE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이 반복 짝지워진 후(조건형성 후)에 종소리에 대한 침분비
예)
강화,강화물(R)REINFORCEMENT
강화:조건자극에 이어 무조건 자극의 제시를 말함
조건반응의 확립에서 강화는 필수
강화물:조건반응을 증가시키는 자극물Albert의 공포의 조건화와 일반화
(a) Albert라는 아기는 원래 흰 토끼를 보았을 때 어떠한 공포감도 갖지 않았었다.
(b) 어느 날 흰쥐를 보았을 때 동시에 큰소리가 나면서 놀란 경험을 갖게 되었고, 흰쥐에 대한 공포감을 갖게 되었다.
흰쥐의 흰털=공포감이라는 고전적 조건 형성이 되었다.
(c) 다시 흰 토끼를 보았을 때 흰털=공포감이라는 조건이 형성되어 토끼를 무서워하게 되었다.
(d) 할아버지의 흰 수염을 보고도 흰털=공포감이라는 조건이 일반화가 되어 할아버지를 보고도 무서워하는 반응을 보이게 되었다.
고전적 조건 형성의 원리
1. 강화의 원리
만족스러운 결과를 줄 때 조건반응이 증가됨
종소리→고기→침 분비
2. 소거의 원리
- 조건 형성 후, 무조건 자극(보상) 없이 조건 자극만 계속 제시, 조건반응이 점차 사라지는 원리
- 습득된 행동을 제거할 때 효과적
- 일관되게 무시하는 것이 중요
예) 종소리 →고기 x→ 침 분비 x
3. 자발적 회복의 원리
소거 후 추가적인 훈련 없이도 시간 경과 후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경우
예) 1주일 후, 종소리→침 분비 /도박 끊고 한참 후에 다시 시작하는 현상/첫사랑의 부활
4. 자극의 일반화
비슷한 자극에 동일한 반응을 보임
예) 종소리→침 분비, 부저 소리→침 분비 /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
5. 변별의 원리
유사 자극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 것
예) 종소리 vs부저 소리의 구분/안전 자극물 vs 위험 자극물의 구분
고전적 조건 형성의 적용 영역
- 태도 학습(좋다 vs 싫다 같은 호불호 감정)에 대한 설명에 유용하다.
- 정서학습(공포, 불안의 감정)에 대한 설명 유용하다.
- 수동적 학습(환경에 주어진 자극에 대해서) 설명할 때 유용하다.
★요약
- 행동주의에서 대표적인 이론 중에 하나는 Pavlov의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이다.
- 고전적 조건 형성에서는 강화의 원리, 소거의 원리, 자발적 회복의 원리, 자극 일반화, 변별의 원리 등이 제안되었다.
-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은 특정 대상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태도에 대한 학습, 불안과 공포와 같은 정서 학습, 학습자가 수동적인 역할을 하는 학습을 설명하는데 잘 적용될 수 있다.
반응형'심리학 >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개론13; 통찰학습과 잠재학습 (0) 2022.09.19 심리학개론09; 행동주의 학습이론 (0) 2022.09.12 심리학개론-6; 항등성과 착시 (2) 2022.09.05 심리학 개론-5; 감각과 지각 (0) 2022.09.03 심리학개론-4;수면과 종-특유행동 (2)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