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임상심리학 14; 임상적 개입 8 (현실치료)
    심리학/임상심리학 2022. 9. 27. 23:21
    반응형

    1. 현실치료 인간관

    • 인간은 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힘을 가지고 있다.
    • 이러한 힘이 있기 때문에 행동변화도 가능함
    • 인간은 자기결정력이 가능한 존재
    • 인간은 유전이나 환경보다 자기 스스로에 의해 결정되는 면이 더 크다.
    • 인간은 자신이나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존재
    • 자신과 환경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다.
    • 인간은 자신에 대해 책임질 수 있는 존재
    • 인간은 성공적인 정체감을 발전시킬 수 있는 존재
    • 성공적인 정체감을 통해 만족스럽고 즐거워지기를 바라며 의미 있는 인간관계를 가지고 싶어 함
    • 인간은 기본적 욕구(소속, 능력, 자유, 재미, 생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존재

    2. 주요개념

    • 현실요법에서는 과거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상담치료방법과는 달리 내담자의 '행동'과 '지금 그리고 책임'을 강조
    • 내담자를 진단적인 정신질환 유형으로 나누지 않으며 다만 내담자 자신의 행동선택(미친 행동이거나 범죄 행동일지라도)을 책임지도록 함
    • 현실요법과 통제이론은 사회, 학교(부적응 학생 등), 산업현장, 병원, 심리상담소, 기업체 등에서 점점 그 효과성에 대한 지지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

    인간의 기본욕구

    (1) 소속·사랑 욕구

    사랑하고 나누고, 협력하고자 하는 인간의 속성

    결혼하고, 가족을 형성하고, 친구를 사귀고, 또래집단에 가입하고, 상징적인 뺏지를 달고 우월감을 가지는 등의 행동들임

    (2) 힘 ·성취 욕구

    경쟁하고 성취하고 중요한 존재이고 싶어하는 속성

    힘에 대한 욕구에 매력을 느끼면 종종 소속에 대한 욕구 등 다른 욕구와 직접적인 갈등의 원인을 경험하기도 함

    부부간의 힘에 대한 갈등, 직장을 가정보다 더 중요시하는 등, 힘에 대한 욕구를 채우려고 사사로운 개인의 소속욕구를 포기할까 말까하는 갈등 행동이 발생함

    (3) 자유에 대한 욕구

    이동하고 선택하는 것을 마음대로 하고 싶어하는 속성

    표현, 대인관계, 종교활동 등에 대한 자유로써 자기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려는 의지가 꼭 필요함

    (4) 즐거움에 대한 욕구

    많은 새로운 것을 배우고 놀이를 통해 즐기고자 하는 속성

    인간의 즐거움에 대한 욕구는 기본적이고 유전적인 지시(instruction)라고 확신함

    이 즐거움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때로는 생명의 위험을 감수하는 경우도 있고, 단순한 놀이 이외에 학습활동에 대한 즐거움도 포함이 됨(Learning should be Fun)

    즐거움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면 웃음

    우리 인간이 웃는 주된 이유는 웃는 순간에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욕구가 충족되었다는 강한 느낌을 경험하기 때문

    그래서 건전한 유머를 상담 중 사용하도록 권장함

    (5) 생존에 대한 욕구

    살고자하는 생식을 통한 자기확장을 하고자 하는 속성

    이는 우리가 선택할 수 없는 두뇌의 지시임

    척추 바로 위에 위치한 두뇌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구조가 작으며 호흡, 소화, 땀 흘리는 것, 혈압 조절 등 신체 구조를 움직이고 건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주요한 과업을 수행하고 있음

     

    통제(선택) 이론

    통제이론이란?

    모든 생물들이 어떻게 그리고 왜 행동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

    어떻게 우리의 삶이 영위되는지를 보여주는

    생존, 사랑, 힘, 즐거움과 자유에 대한 인간의 다섯 가지 생태적인 기본욕구에 의해 행동한다는 생각을 근거로 하고 있음

    우리가 책임 있는 행동과 효과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배운다면, 즉 실질적인 면에서 우리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방해하지 않을 때, 우리들은 행복하고 건강하고 또한 우리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것임

    통제의 의미는 인간 개인이라는 생명체가 하나의 통제체계(Control System)로서 어떻게 뇌의 작용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가를 설명해주는 이론

     

    그래써의 통제이론

    자신의 삶에 성취감을 북돋워주고 또한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I'm in control of my life) 긍정적인 개념으로 사용

     

    전행동(全行動)

    전행동- 차가 되어 가고 싶은 방향으로 가게 됨

    전행동(全行動)
    자동차의 엔진 인간의 5가지 욕구(생존, 사랑, 힘, 즐거움과 자유)
    원함(Want) 핸들
    자동차의 앞바퀴 활동하기, 생각하기(통제력있음)
    자동차의 뒷바퀴 느끼기와 생리기능(통제력 없음)

    ---->이 요소들이 모여 하나의 행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든 행동에는 이 네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음

    우리가 앞바퀴인 활동하기 부분을 구체적으로 변화시킨다면,

    나머지 세 바퀴에 해당되는 생각하기, 느끼기, 그리고 생리기능까지도 자동적으로 변화가 따라오게 된다

    적극적인 활동에 많이 관여할수록 좋은 감정과 유쾌한 생각, 그리고 더 좋은 생리적인 편안함이 수반될 것

     

    3R

    3R[책임(responsibility), 현실(reality), 옳고 그름(right and wrong)]

     

    (1) 책임(responsibility)

    '다른 사람이 그들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능력'

    이 이론에서는 정신건강과 책임을 같은 것으로 본다.

    , 자신의 책임을 잘지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고 자신의 책임을 잘 지지 않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이다.

    그래서 글래써는 '정신병''정신병 분류체계'라는 말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글래써는 책임 있는 행동이 정신건강의 원동력이 된다고 보았다.

     

    (2) 현실(reality)

    현실적 상담에서 책임이란 현실을 직면하는 것

    현실과의 직면이란 현실세계의 모든 여건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현실세계에 대한 통제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

    현실적 상담이란 결국 내담자가 더욱 책임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실을 직면토록 하는 것임

     

    (3) 판단(right and wrong)

    많은 다른 상담이론에서는 가치판단을 배제하지만 글래써는 판단을 중요하게 생각함

    가치판단을 하지 않게 되면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입장.

    기본적 욕구충족을 위해서도 판단이 필요함

    판단은 자신의 행동변화를 위한 추진력이 될 수 있음

    현실적으로 책임을 지려면 현실적 여건 중에서 개인의 욕구충족을 가로막고 있는 것을 정확히 알아야 함

    판단은 다른 사람의 욕구충족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면서도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쪽으로 행동변화를 이끌어 가는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음

     

    3. 상담목표

    현실요법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삶의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이론과 방법을 익혀서 성숙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표를 둠

    현실치료선택이론(choice theory)을 기초로 한 상담방법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보다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내담자가 책임질 수 있고 만족한 방법으로 자신의 심리적 욕구인 소속감, 힘, 자유, 흥미를 달성하도록 조력하는 것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 자율성은 내담자 자신의 성숙이나 자신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실현하는 능력으로 볼 수 있음
    • 자기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함
    •  자율성을 갖기 위해서는 자기결정이 가능해야 함
    • 여기에는 스스로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함도 포함
    • 장 · 단기간에 걸쳐 내담자가 자신의 인생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
    • 내담자가 성공적 정체감을 가지도록 함
    • 성공적 정체감은 인생목표 설정이나 자기결정, 개인적 자율성을 위해 중요함
    • 내담자가 책임감을 갖도록 함
    • 자신의 행동과 욕구충족을 포함하여 자신의 모든 것에 대해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것
    • 내담자가 자신의 주위환경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함
    • 이를 위해 내담자가 하고자 하는바를 행동으로 바꿀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행하도록 함
    • 내담자가 현실적 맥락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함
    • 내담자가 자신의 현재 행동, 느낌, 생각, 신체적 활동 상태를 각성함과 아울러 그것인 현실적으로 자신의 욕구충족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인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
    • 상담자가 판단해 주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함
    • 자신의 각성수준을 높이도록 함
    • 특히 자신의 욕구나 원함과 관련 지워 각성토록 함
    • 내담자가 긍정적으로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신체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
    • 즉, 내담자의 욕구충족에 도움 되게 행동하고 느끼고 생각하고 신체적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임
    • 내담자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
    • 내담자가 자신의 기본욕구, 즉 소속감, 힘, 자유, 재미, 생존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

     

    4.상담과정

    현실치료내담자의 기본욕구를 파악하여 그러한 욕구를 바람직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접근방식

    특히 현실치료는 학교상황에서 학생들을 상담하는데 매우 효과적임

    현실요법(치료과정 WDEP)

    상담이라는 예술은 이 두 과정을 조화롭게 엮어내어 내담자로 하여금 그들의 삶을 스스로 평가하고 바람직하게 방향선택을 결심하도록 함께 작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담환경 가꾸기

    상담자는 지지적인 환경을 만들어야 하며, 그 안에서 내담자들이 삶을 변화하도록 해야 함

    이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일관성이 있어야 함

    현실요법을 이용한 상담환경 가꾸기에서의 적극적인 권장 사항은 무엇보다도 먼저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 신뢰하고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긍정적인 관심을 기울일 때 비로소 상담의 효과가 높아진다고 함

    1.친근감을 가지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할 것

    2.내담자의 과거사는 그것이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한 이야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아야 함

    3.내담자의 느낌이나 신체현상을 전행동과 분리시켜 이야기하는 것을 피함

    4.무책임한 행동에 대한 변명을 허용하지 않음

    5.벌하거나 비판하지 않으면서 내담자의 행동선택에 대한 필연적인 결과 깨닫기를 해야 할 것임

     

    권장사항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하기(Use Attending Behaviors) : 적극적 경청하기

    -AB법칙을 실시하기(Practice the AB-CDEFG) : 내담자와의 지속적인 우호관계 형성

    1)항상 침착하고 예의 바를 것(Always Be Calm & Courteous)

    2) 항상 확신(신념)을 가질 것(Always Be Determined)

    3)항상 열성(긍정)적일 것(Always Be Enthusiastic)

    4)항상 단호(확고)할 것(Always Be Firm)

    5)항상 진실하기(Always Be Genuine)

    -판단을 보류하기(Suspend Judgement)

    판단, 비난하지 않고 일차수준의 지각을 통하여 내담자의 행동을 이해

    -역설적인 기법 사용하기-예상하지 않은 행동을 하기(Do the unexpected)

    -건전한 유머를 사용하기(Use Humor)

    -자기답게(개성있게) 상담하기(Be Yourself) : 자기만의 방법, 이론 적용하기

    -자기 개방하기(Share Yourself)

    -은유적 표현에 귀 기울이기(Listen for Metaphors)

    -주제에 귀 기울이기(Lister for themes)

    -요약하고 초점 맞추기(Use Summarize and Focus)

    -결과를 허용하거나 떠맡기기(Allow or Impose Consequences) 선택에 대한 책임 지우기

    -침묵을 허용하기(Allow Silence)

    -윤리적이기 (Be Ethical)

     

    금지사항

    -변명을 받아들이지 말 것(Don't Accept Excuse)

    -비판하거나 논쟁하지 말 것이며 행동결과에 책임질 것(Don't Punish, Criticize, or Argue: Allow Consequences)

    -비판도 처벌의 일종, 논쟁도 비판의 일종

    -내담자를 쉽게 포기하지 말 것(Don't Give Up Easily)

    -강압하지 말 것, 공포분위기를 조성하지 말 것, 무시하지 말 것(사소한 일이라도 지지, 강화)

    -화는 표현하고 폭발하지 말 것

     

    행동 변화를 위한 상담 과정 : 현실치료과정(WDEP-WANT/DOING/EVALUATION/PLAN)

    (1) 욕구, 바램, 지각탐색하기(W : WANT)

    상담자가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의 바램, 욕구, 지각을 탐색하여

    내담자가 그것을 상담자와 나누기 위해 진지하게 상담에 임할 수 있도록 내담자로부터 약속을 받아내는 단계

    "무엇을 원하는가?"

    내담자가 자신의 질적인 세계를 탐색하고 이제까지 희미하게 알았던 자신의 바램을 확실하게 알게 함

    내담자 마음속의 사진들이 분명하고 그것을 얻는 방법과 원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무엇인지 상세히 말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신의 욕구를 바르게 지각하도록 도움

    이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 과정만 잘 이루어져도 내담자에게 있어서는 스스로에 대한 통찰이 시작됨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알게 됨

    성취 할 수 있는 현실적인 그림을 자기자신 안에 있는 이상적인 "사진첩"에 있는 그림과 바꿀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됨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진정한 바램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는데 이는 깊은 내면 속의 존재에 대한 질문("What do you really want?")을 느끼게 됨

    "사람들이 당신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내담자가 원하는 것의 일치 혹은 불일치를 알아봄으로써 내담자 자신의 사진(Want)에 내포되어 있는 근본적인 욕구가 무엇인지를 더욱 확실하게 보도록 도와줌

    "당신은 어떤 시각으로 사물과 환경을 바라보느냐?"

    내담자의 지각체계를 탐색함

    내담자가 이차수준의 지각(가치여과기)으로 현실상황을 보는지 혹은 일차수준의 지각(지식체계)으로 보는지를 묘사해 보도록 하는 동시에 내담자가 자신의 삶의 방향을 바꿀 것인지에 관해 질문을 할 수 있게 됨

    "당신은 상담자에게 무엇을 바랍니까?"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어떤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지, 주위 사람들에게서 무엇을 원하는지 또는 내담자 자신이 상담상황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해 내담자에게 말하게 하는 것임

    상담에 대한 확약 얻기

    "문제해결을 위해 기꺼이 노력하겠습니까?" 등의 질문을 함으로써 내담자로부터 진지하게 상담에 임할 약속을 받아내는 것임

     

    (2) 전행동과 행동방향 탐색하기(D : DOING)

    "What are you doing?"

    전 행동 탐색하기는 상담자가 상담과정 초기에 내담자에게 상담의 전반적인 방향, 즉 내담자가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탐색하도록 도와주는 절차

    현실요법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통제할 수 있는 활동을 스스로 탐색할 것을 강조

    --->내담자의 활동요소를 바꿈으로써 그가 지녔던 우울, 격분, 외로움 등의 느낌요소와 생리기능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당신은" 자기의 행동원인을 환경조건 혹은 남의 탓으로 돌리거나 변명을 하려는 활동을 중단시키고 자기행동의 주인임을 확인함
    "무엇" 자기행동 효과성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거나 평가를 하게 될 행동 뿐 아니라 자기통제가 가능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줌
    내담자의 행동이 곧 자신의 선택이라는 원리에 기초하여 내담자 자신의 모습을 특별하고 객관적인 각도에서 바라보게 하는 것임
    "하고" 내담자가 선택해왔던 활동요소에 초점을 맞추는 것임
    전행동 중의 활동요소를 보다 나은 것으로 선택을 하면 감정요소 또한 자동적으로 변화된다는 것을 앎
    "있습니까?" 현실요법에서는내담자들이 현재 생활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중요시함

     

    (3) 행동과 계획에 대한 자기평가하기(E : Evaluation)

    개인의 행동과 욕구와의 관계를 점검해 보는 것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위한 가장 핵심부분은 그들 스스로 자기평가를 하게 하는 단계

    "당신의 지금의 행동이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내담자 자신으로부터 생기는 자기행동의 평가 혹은 행동 가치판단의 기준이 문제해결의 출발점이 된다는 것을 내담자가 인식 하도록 도와줌

    "당신이 지금하고 있는 것은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얻는데 도움이 됩니까?"

    내담자 자신의 최근의 행동이 자신의 바람을 얻고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봄

    ”당신이 행동하는 것이 규칙에 어긋납니까?“

    "당신이 원하는 것은 현실적이거나 실현 가능한 것입니까?“

    내담자가 원하는 것이 현실적인지를 평가하도록 요구하며 내담자의 바램이 성취 될 수 있는가에 초점을 줌

    "그런 식으로 보는 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됩니까?"

    이차적인 지각(판단)수준, 특히 부정적인 지각수준을 직시시켜 주는데 도움을 줌

    "상담의 진행과 당신 인생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약속을 하시겠습니까?“

    "도움이 되는 계획입니까?"

    내담자 자신의 계획이 효과적인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실현가능성이 있는 것인가 등을 평가하게 됨

    또한 상담자도 자신들의 특정행동과 일반적인 능력, 상담자로서의 전문적인 성장에 대해서도 자기평가를 함으로써 성공적인 상담을 이룰 수 있음

     

    (4) 계획하기 (P : PLAN)

    계획과 실행과정으로써 긍정적인 행동계획과 그 계획에 대한 약속, 과정에 대한 마무리 제언으로 이루어짐

     

    다섯 가지 욕구가 충족되는 계획(Need Fulfilling)

    내담자가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행하였을 때에 얻어지는 효과가 어떤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상담자는 그 계획을 끝까지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상담의 목표로 삼음

    단순한 계획(Simple) 내담자의 바람직한 행동선택이 중요하며, 내담자에게 적합하고 명확하며 단순한 계획일수록 바람직함
    현실적이고 실현가능한 계획(Attainable) 삶에 책임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해 통제력이 증가되어 스스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임
    어떤 행위를 중지시키는 것이 아니고 특정행위를 하도록 권장하는 것
    부정적인사고를 긍정적으로 바꾸는데 도움을 줌
    활동자에 기초한 계획(Dependent on the Doer) 내담자 자신이 계획하고 결과를 책임 지도록 계획함
    구체적인 계획(Specific) 목표가 구체적이고 결과를 점수 등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음
    측정가능하고 반복적인 계획(Measurable and Repetitive)
    숫자,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눈에 보이게 설명하면 더욱 좋음
    즉각적인 계획(Immediate) 내담자가 오늘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계획을 설정 하는 것이 중요함
    현실적인 계획(Realistic) 단기적이고 사소한 계획일지라도 내담자가 세운 계획은 실현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스스로 시작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 계획은 가치가 있음
    진행중심적인 계획(Process-Centered) 결과와는 무관하게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내담자의 활동에 중점을 두는 것을 말함
    평가(Evaluated) "그 계획이 어떤 욕구와 바램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
    단호함(Firm) 계획한 것을 이행하도록 확고한 약속을 하게 하는 것임
    강화된 계획(Reinforced)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인생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책임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도와줌

     

    5. 상담기법

    현실적 상담의 관점에서 보면 상담은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에 합리적인 대화를 강조하는 학습의 과정

    내담자는 상담자의 많은 질문에 대해 대답하는 가운데 자신의 현재 행동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가치판단을 내리며 변화를 위한 계획을 세워 이를 꼭 실천하게 하는 것이 이 상담의 과정이고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상담기술

     

    1) 질문하기(ask)

    현실치료에서 질문은 지각 욕구 바람탐색, 전행동 탐색, 행동과 계획에 대한 자기평가, 계획하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효과적인 질문은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그러한 행동을 평가하고 계획하도록 함

    또한 질문은 내담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며 선택을 통해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통제하도록 도움

     

    2) 직면하기

    상담자는 직면하기를 통해 내담자의 변명을 다룰 때 긍정적 태도를 유지하면서 변명을 수용하지 않음

    상담자는 내담자를 비판하거나 그와 논쟁하지 않으면서 내담자가 자신의 전체행동을 탐색해서 효과적인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여기서 상담자의 중요한 일은 내담자가 정말 달성하기를 소망하는 바람과 그가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이 그러한 바람을 달성해주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활동이며 직면하기를 통해 내담자가 선택한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함

     

    3) 역설적 기법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모순된 요구나 지시를 주어 그를 딜레마에 빠지게 하는 역설적 기법을 사용함

    역설의 두 가지 유형은 '틀 바꾸기'와 '증상처방'

    역설적 기법은 내담자의 통제에 있고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는 것을 느끼도록 해 줌

     

    4) 유머사용하기

    현실치료는 즐거움이나 흥미를 기본욕구로 강조함

    상담자가 유머를 통해 내담자와 친근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내담자의 소속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음

    상담자가 사용하는 유머는 말로 풀어가기 어려운 문제를 편안한 분위기에서 복선적 의미를 사용하여 해결 가능하게 하며, 내담자의 직면으로부터의 상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

     

    6. 평가

    현실치료이론은 초기에 소년원과 같은 수용시설에 있는 청소년에게 적용시켰던 상담방법이었다.

    최근에는 내담자에게 자유와 책임을 감당할 수 있는 용기를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설득력을 얻어,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장면에서 교사들에게 애용되고 있으며 일반학생들의 위기상담 장면에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정신질환이란 없다.’라는 Glasser의 견해와 책임만을 강조하는 단순한 상담체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음  

     

    ★요약

    1. 과거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상담치료방법과는 달리 현실치료에서는 내담자의 '행동'과 '지금 그리고 책임'을 강조하며, 내담자를 진단적인 정신질환 유형으로 나누지 않으며 다만 내담자 자신의 행동선택(미친 행동이거나 범죄 행동일지라도)을 책임지도록 하는 긍정적인 인간관을 중시한다.

     

    2.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자유, 생존, 사랑과 소속, 힘과 성취, 즐거움 등 5가지 욕구를 통해 자신의 정체감을 개발하고 자신과 주위 사람들의 관여를 통해 발전시켜 나간다. 자신과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사랑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여기면 성공적인 정체감이 발달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하면 패배적인 정체감이 발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3. 상담의 과정은 관여, 책임의 소재확인, 재학습 기술에 초점을 두고 주로 적극적이고 지시적이며 교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4. 상담의 구체적인 과정상담관계의 형성, 현재의 행동에 초점 두기, 내담자 스스로 행동평가하기, 활동계획 짜기, 다짐 받아내기, 변명 받아들이지 않기, 처벌하지 않기, 실망이나 포기하지 않기 이다.

     

    5. 상담기법으로는 관여적 기법으로 온정, 관심표명, 긍정적 존중, 진실성, 자기개방이 있으며, 책임의 소재 확인을 위하여 맞닥뜨림, 토의와 논쟁, 언어적 충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재학습의 과정에서는 체계적 계획하기. 시범, 교수, 대화, 유머, 풍자 등의 기법이 사용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