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심리학개론13; 이중기억이론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27. 05:57
Q1.기억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 Q2.생각이 나지 않은 기억은 영원히 사라지는 것일까? 기억의 종류와 과정 기억내용에 따른 분석 의미기억 :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는 것. 지식을 하나의 명제형태로 추상적으로 기억하는 것. 삽화기억 : 기억에 있어서 그림처럼 기억하는 영상기억 기능적 과정에 대한 분석 기억(memory)이란? 지식이나 정보가 획득, 수정, 저장, 인출, 변형되는 하나의 능동적 체계 이중기억이론 - 기억은 처리시간에 따라 감각저장소->단기기억->장기기억으로 변화된다고 보는 이론 - 지속시간에 따라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나뉜다. - 단기기억 감각저장소를 통해 들어온 많은 정보 중에 지금 현재 의식 속에 있는 기억으로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라고도 불림. - 장기기억 현재 의..
-
임상심리학12;임상적개입-인지행동정서치료 : REBT심리학/임상심리학 2022. 9. 20. 18:19
Q 인간의 행동이나 태도는 사고 혹은 정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을까? REBT의 기본 특징 전통적 행동치료가 확장되어 주로 인지행동치료 방향으로 이동하였음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REBT) 벡의 인지치료 (CT) 마이헨바움의 인지행동수정 (CBM) 인지행동치료는 단기적 치료 접근에서 인지와 행동의 원리와 방법 둘 다를 적용함 모든 인지행동 접근은 치료의 기본 특징과 가정을 똑같이 공유 내담자와 상담심리사의 협동적 관계 심리적 어려움이 주로 인지과정의 혼란으로 인해 생김 감정과 행동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생성하기 위한 인지적 변화 강조 현재 중심적, 임상가의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자세 구체적이며 구조화된 표적 문제에 대한 교육적 치료 내담자가 자기 자신과 자신의 세상을 이해하고 방식을 검토하며 새로운 ..
-
임상심리학11; 행동주의 상담기법심리학/임상심리학 2022. 9. 20. 17:21
행동주의 상담의 기본입장 행동주의는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선행 조건과 결과에 의해서 행동이 형성된다는 입장 행동은 추동 또는 욕구에 의해서 동기화되고 보상과 처벌이라는 형태의 강화에 의해서 견고해지거나 약화됨 행동의 변화는 성격구조에 의해서라기보다 유전적 기초 위에 자극, 반응, 반응의 결과, 인지구조의 상호관계, 재교육의 학습과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짐 행동주의 접근 성격의 구조나 성격발달 특징보다 수정 가능한 행동(행동변화)에 초점---->인간의 모든 행동은 학습된 것 치료적인 개입은 잘못 학습된 행동을 소거하고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행동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조건을 형성 행동주의 상담기술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실험방법을 통해 개발된 것으로 -----> 치료 및 상담과정은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
-
인지심리학12; 망각과 기억 구성심리학/인지심리학 2022. 9. 20. 16:15
Q .동창회에서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그 시절 추억을 떠올리며 이야기하다 보면 동일한 경험에 대해 서로 다른 내용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기억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억 간섭과 소멸 망각하는 이유 기억 정보를 망각하는 이유에 대한 두 가지 설명 간섭(interference): 경쟁하는 정보가 다른 정보의 저장을 방해함 소멸(decay): 단지 시간이 경과되어서 자연스럽게 잊혀짐 간섭이론 간섭에 의한 망각 실험 (브라운 & 패터슨, 1959) 실험 절차 -세 자음으로 구성된 글자열을 암송함 (예: K B F) - 시간 경과 후(파지 기간: 3, 6, 9, 12, 15, 18초) 글자열의 회상하도록 함 - 파지 기간 동안 암송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 빼어 나가기 과제를..
-
인지심리학11; 기억 정보의 부호화와 인출심리학/인지심리학 2022. 9. 19. 18:10
Q.10년 전에 있었던 일은 기억이 잘 나지만 고작 1년 전에 있었던 일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이런 경우가 생기는 걸까요? 정보의 부호화 기억 과정의 개요 기억 과정과 관련하여 다루어지는 문제들 - 광고음악이 마음에서 반복적으로 들리는 경험은 왜 하게 되나? - 일화나 정보를 순서대로 기억해 내는 능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 망각되는 과정은? 기억의 3가지 주요 과정 - 부호화(encoding): 물리적인 감각 입력 자극을 기억 표상 정보로 전환하는 방법 - 저장(storage): 부호화한 정보를 기억에 저장(유지)하는 방법 - 인출(retrieval): 기억 저장된 정보에 접속하는 방법 기억의 주요 연구 문제: 정보의 ‘부호화 형태’ - 정보는 어떤 형태로 부호화되어 기억에 저장..
-
심리학개론12; 인지주의 학습이론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19. 16:37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빨간마후라’를 찍은 청소년은 어떤 학습 원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TV에서 상영하는 조폭영화를 많이 보는 것이 나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음란물, 폭력물을 보는 것이 유해할까요? 그 근거는 무엇일까요? 사회학습이론(Bandura) 모방과 관찰학습(Bandura) 모델링: 강화물을 주지 않더라도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모방하는 것으로도 학습이 일어난다. 모방: 타인의 행동을 단순히 따라 하는 것, 아이의 언어훈련 관찰학습: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 학습하는 것, 수영코치의 동작을 따라 하는 것 대리적 학습: 형의 행동을 따라 한 동생이 형의 행동의 결과까지 학습하는 것 사회학습이론(Bandura) Albert Bandura가 제안한 사회 학..
-
심리학개론13; 통찰학습과 잠재학습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19. 15:11
Q1.인지적 학습에는 어떤 이론들이 있을까? Q2.수수께끼를 푸는 것은 인지학습 중에서 어디에 속할까? 바나나 따먹는 침팬지(술탄)의 통찰학습 - 통찰(insight)이란, 문제 상황에서 갑자기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통찰(insight)"이라 하며, 통찰에 의한 학습을 ‘아하 경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깨달음.----->깨달음 - 통찰 학습에는 ★학습자의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술탄의 동기-> 바나나) 통찰 학습의 시사점 ① 강화나 처벌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② 교사나 부모는 helper의 역할. 동기부여-호기심 자극 인지적 재조직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잘 배열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잠재학습 (Tolman) 진정한 학습경험만으로 학습이 일어난다. 톨만의..
-
심리학개론13; 통찰학습과 잠재학습심리학/심리학개론 2022. 9. 19. 15:09
Q1.인지적 학습에는 어떤 이론들이 있을까? Q2.수수께끼를 푸는 것은 인지학습 중에서 어디에 속할까? 바나나 따먹는 침팬지(술탄)의 통찰학습 - 통찰(insight)이란, 문제 상황에서 갑자기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통찰(insight)"이라 하며, 통찰에 의한 학습을 ‘아하 경험’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깨달음.----->깨달음 - 통찰 학습에는 ★학습자의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술탄의 동기-> 바나나) 통찰 학습의 시사점 ① 강화나 처벌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다. ② 교사나 부모는 helper의 역할. 동기부여-호기심 자극 인지적 재조직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잘 배열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잠재학습 (Tolman) 진정한 학습경험만으로 학습이 일어난다. 톨만의..